韓, 달탐사 ‘아르테미스 약정’ 10번째 국가 됐다

입력 2021-05-28 04:06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24일 세종시 과기정통부 청사에서 미국 주도의 평화적 우주탐사를 위한 국제 협력 원칙을 규정한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한 문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미국 주도의 달 탐사계획을 위한 국제 협력체인 ‘아르테미스 약정’에 정식 참여했다. 한·미 위성항법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에도 양국이 서명함으로써 국내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에 미국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정부의 우주기술 역량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미 항공우주청(NASA·나사)과 우리 정부의 아르테미스 약정 참여를 위한 서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한국의 아르테미스 약정 서명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미국은 1970년대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50여 년 만에 달에 우주인을 보내기 위한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국제협력 원칙으로 아르테미스 약정을 수립했다. 우리는 미국과 영국, 일본, 이탈리아, 호주, 캐나다,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우크라이나에 이어 10번째 참여국이 됐다.

아르테미스 약정 참여를 계기로 향후 달 탐구 및 개발에 약정 참여국과 연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내년 8월에 발사 예정인 한국 달궤도선(KPLO)에도 나사가 제작한 음영카메라(ShadowCam)가 탑재돼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기여할 예정이라고 과기부는 전했다.

이날 정부는 아르테미스 약정 외에도 한·미 위성항법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 서명식도 했다. 외교부와 과기부, 미 국무부와 상무부 우주 기반 PNT(Positioning·Navigation·Timing, 위치·항법·시각) 국가조정사무소가 2+2 형태로 서명했다.

우리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인프라로서 초정밀 위치와 항법, 시각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이며, 조사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개발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정부의 위성항법 개발은 처음이어서 이번 공동성명 서명을 계기로 이 분야의 기술과 경험이 가장 풍부한 미국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