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의 중국 현지 조사 보고서에 코로나19의 ‘중국 기원설’을 규명할 만한 자료가 포함돼 있었지만 제대로 검토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미국 CNN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소식통을 인용해 WHO 전문가 패널이 지난 3월 발간한 보고서에 200페이지에 달하는 부록이 첨부돼 있었다고 전했다. 부록에는 중국 당국의 정보 은폐 의혹과 더불어 WHO 차원의 재조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한다. 이 부록은 발간 당시부터 최근까지 세계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부록에는 중국 당국이 2019년 12월 당시 인체에서 채취한 코로나19 샘플을 저장하고 파괴한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로 보고된 감염자가 식료품과 동물을 판매하는 상점 28곳을 방문했었다는 내용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코로나19 발병 초기 동물을 대상으로 대규모 조사를 벌인 정황도 있었다. 보고서를 보면 당시 중국 당국은 아프리카·아시아 원숭이와 사향노루, 고슴도치, 대나무쥐 등 야생동물 69종에서 표본을 추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측은 이 동물들이 코로나19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지만 WHO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상하다”는 반응이 나왔다고 한다. 또 2020년 1월 셋째 주 우한의 사망률이 올라가고, 곧이어 후베이에서도 같은 현상이 벌어졌다고 한다. 이와 함께 우한 신화 병원에서 2019년 12월 발열에 따른 외래 환자가 그 전해 같은 달과 비교해 4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CNN은 이미 우한과 후베이에 독감이 만연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진상 규명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재임 기간 내내 중국 기원설을 강력히 주장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내가 옳았다는 데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장을 음모론으로 치부했던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 주류 언론들은 곤혹스런 처지에 놓였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분석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