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되지 않는 국유지를 활용해 발달장애인과 함께 하는 ‘전주형 치유농장’(사진)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유휴 국유지를 이용해 케어팜을 조성한 사례는 전국 처음으로 공공기관과 행정, 민간이 협업으로 운영하고 있어 의미를 더하고 있다.
전북 전주시 장동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옆 1134㎡에 만들어진 치유농장(케어팜). 이 농장은 지난달 22일 문을 열었다. 말라 죽은 나무와 잡풀이 우거져 있던 땅에 이랑과 고랑이 생기며 번듯한 텃밭으로 재탄생했다.
이후 전주지역 장애인주간보호센터 10여곳의 도움을 받는 100여명이 센터별로 들러 상추와 고추, 토마토, 고구마, 꽃 모종 등을 심었다. 다음 달부터는 감자를 수확하고 배추와 무, 쪽파도 심을 예정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혁신아이디어 공모전에서 국민참여 우수작으로 선정되며 시작됐다. 이재찬씨가 제안한 ‘유휴 국유지를 활용한 케어팜(치유농장) 사업’이 국민참여와 지역사회 협업, 4차 산업이 융합된 캠코의 신 사회공헌 모델사업으로 추진됐다.
캠코 전북본부가 앞장서고 전주시와 전북장애인부모회 전주시지회, 전북도교육청,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등 10여개 기관이 손을 맞잡고 농장을 조성했다.
한국도로공사는 전주 수목원 숲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팸투어를 도울 계획이다. 마사회 장수목장은 목장 견학과 생태숲길 체험 등을 후원키로 했다. 이 같은 프로그램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는 데로 적극 운영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앞으로 국공유지를 비롯한 공공 기관이 묵혀둔 부지를 활용하여 장애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치유농장 등을 조성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행정안전부의 ‘7대 중점 및 기관관리 협업과제’로도 뽑혔다.
치유농장 조성과 운영을 맡고 있는 최낙송 캠코 전북본부장은 “이번 케어팜을 계기로 공공 유휴 부지를 이용해 장애인 뿐만 아니라 치매 어르신 등을 위한 공간 조성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