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광화문광장과 연계해 광화문~용산~한강을 잇는 7㎞의 ‘국가상징거리’가 조성된다. 강변북로 재구조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및 지상부 활용방안 연구 용역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 사업들을 포함한 44조 6494억원 규모의 2021년 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고 25일 밝혔다. 올해 본 예산 대비 4조 2370억원(10.5%) 증가한 규모다.
우선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청년 월세지원 대상자를 지난해 5000명에서 올해 2만7000명까지 5배 이상 대폭 늘린다. 또 주거, 복지, 보육, 취업 창업 등 청년지원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청년 몽땅 정보통’을 새롭게 구축해 개인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주택 정비사업 현안지역 6곳을 추가로 선정, 정비계획 입안 이전에 도시·건축 종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사전 공공기획안을 수립한다. 공공기여와 사회적 기여를 높이는 단지에는 도시계획 인센티브를 제공해 재개발 재건축의 정상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자율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소규모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해 정비계획과 기반시설 확충계획을 수립한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는 2조원의 무이자 무보증료 융자지원을 한다. 올해 초 실시한 소상공인 융자지원 사업을 확대해 1조원을 추가 지원하는 것으로, 업체당 최대 1억원까지 1년간 무이자 융자가 가능하다. 만 16세 이상 서울시 플랫폼 배달종사자 약 2만3000명에게는 민간 상해보험 단체가입을 신규 지원한다. 산재가입이 어려운 플랫폼 배달종사자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사업이다.
오세훈 시장의 핵심 공약인 1인가구 지원도 본격화한다. 병원 동행, 도어 지킴이 서비스를 시작하고 여성 1인가구 밀집지역 20곳에 ‘안심마을 보안관’을 80명 배치한다. 50~60대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클러스터형 주택 모델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3~5개 어린이집이 정원을 공유해 공간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새롭게 도입해 4개 자치구 40곳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한강공원 155곳에 CCTV를 추가 설치해 안전사각지대를 줄여나간다.
현재 진행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과 연계해 광화문~용산~한강 7㎞ 구간을 ‘국가상징거리’로 조성하는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국가상징거리는 프랑스 파리의 그랑닥스(Grand Axis), 영국 런던의 더몰(The Mall), 미국 워싱턴의 더내셔널몰(The National Mall)이 대표적이다. 서울시는 국가상징거리와 관련해 광장 및 주변부와 연계한 가로 중심의 도시 활성화 방안도 마련한다.
아울러 김포공항과 그 일대를 항공산업 물류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한 계획 수립도 시작한다. 강변북로 일부 구간을 지하화하고 지상에 보도·공원 등을 조성하는 사업,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양재IC 구간을 지하화하고 상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내년 6월까지 추진한다.
전기차는 올해 예정된 물량의 95%를 추가하고, 충전 인프라도 확충한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도 새로 구축한다.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을 위해선 6개월 간 수도요금을 감면해주고, 공공상가에 입주한 소상공인의 임대료도 감면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