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25일 ‘네이버 AI 나우’ 컨퍼런스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개발한 ‘초대규모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는 인공지능연구소 오픈AI가 만든 AI 모델 GPT-3를 뛰어넘는 규모로 개발됐다. GPT-3이 1750억개의 매개변수(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데 하이퍼클로바는 2040억개 규모다. 파라미터 수가 많을 수록 AI는 더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특히 하이퍼클로바는 한국어에 특화된 AI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가 GPT-3보다 한국어 데이터를 6500배 이상 학습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한국어 초거대 언어모델이라고 설명했다. 하이퍼클로바 학습 데이터 중 한국어 비중이 97%에 달한다. 한국어에 최적화한 언어 모델을 개발해 AI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의미라고 네이버는 강조했다.
네이버는 지난 6일부터 검색 서비스에 하이퍼클로바 기술을 적용했다.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 과정에서 오타를 내면 이를 인지하고 원래 의도한 검색어를 찾아주는 기능이다. 네이버는 앞으로 한국어 외 다른 언어로 언어 모델을 확장하고, 언어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이미지 등도 이해하는 ‘멀티모달 AI’로 하이퍼클로바를 계속해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마케팅 문구를 AI가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일, 공부해야 할 내용을 AI가 빠르게 요약하거나 모르는 내용을 질문했을 때 자연스럽게 답변해주는 일 등에 하이퍼클로바가 사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는 “하이퍼클로바를 통해 소상공인, 크리에이터를 포함해 AI 기술이 필요한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