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밀착에 中 태클 “대만 간섭 용납 못해”

입력 2021-05-25 04:01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AP연합뉴스

중국이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가 처음 언급된 데 대해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벌이던 한국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에 한 발짝 밀착했다고 보고 경계심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만 문제는 완전한 중국의 내정”이라며 “어떠한 외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관련 국가들은 대만 문제에서 언행을 신중히 해야 하며 불장난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자오 대변인은 또 ‘남중국해에서의 국제법 존중’을 언급한 한·미를 향해 “각국이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항행과 비행의 자유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문제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백악관 정상회담 이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한·미는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 문서에 대만 문제가 포함된 건 처음이었다. 공동성명에는 ‘중국’이란 표현은 들어가지 않았지만 대만, 쿼드(Quad), 남중국해 등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핵심 문구 3개가 모두 포함됐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도 이날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동성명에 대만 등이 담긴 것을 두고 “중국을 겨냥한 것을 모르는 게 아니다”며 “아쉽게 봤다”고 말했다.

다만 반발 강도는 미·일 정상회담 때보다는 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의 이번 방미와 관련해 중국과 충분한 소통을 하고 있다. 중국도 한국이 처한 입장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중국 입장은 기존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 발표 후 중국이 발표한 입장과 비교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19일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미국과 일본은 국제사회를 대표할 수 없다. 이들은 국제 질서를 정의할 권리도, 다른 이들에게 자신들의 기준을 강요할 권리도 없다”고 맹비난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박세환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