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1일 코로나19 방역 대응을 위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다음 달 13일까지 3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수도권 식당·카페·실내체육시설·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밤 10시) 및 유흥시설 집합금지 조치도 그대로 유지된다. 당초 이런 조치는 23일까지 시행되고 이후 완화된 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으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줄지 않으면서 6차례나 연장하게 됐다.
지난 2월부터 시행된 현행 조치가 넉 달간 이어지면서 국민들의 방역에 대한 피로감이나 생업에의 지장이 여간 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하루 확진자 수가 꾸준히 600명 안팎 유지되고 있고 일상 곳곳에서의 감염이 지속되고 있어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 게다가 전파력이 높은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도 증가하는 추세여서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평일 이동량이 계속 늘고 있는 것도 신경 쓰이는 부분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백신 접종이 차질을 빚지 않기 위해서라도 안정적 방역 상황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거리두기 단계가 하루빨리 완화되려면 결국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수밖에 없다. 정부도 6월말까지 1300만명에 대한 백신 접종이 완료되면 감염 위험도가 상당히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조만간 본격화되는 고령층 백신 접종 예약률이 예상보다 훨씬 낮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21일 0시 기준 예약률을 보면 60∼64세 43.1%, 65∼69세 57.3%, 70∼74세 64.3%로 전체적으로 52.7%에 불과하다.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선 백신을 맞은 사람에 대한 인센티브가 빨리 마련돼야 한다. 정부가 다음 달부터 요양병원·요양시설의 환자나 면회객 중 어느 한쪽이라도 백신을 접종했으면 대면 면회를 허용하기로 한 것도 그런 일환일 것이다. 그런데 그 정도 인센티브로는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 외국의 경우 현금이나 복권, 생필품 쿠폰 등을 나눠주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우리도 보다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혜택들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겠다. 백신 부작용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낼 캠페인도 더 확대돼야 한다. 아울러 연예인이나 저명인사들이 백신을 맞고 인증샷 등을 공개하면 접종 확산에 도움을 줄 것이다. 고령층을 고용한 곳은 백신 휴가를 적극 장려하기 바란다.
[사설] 백신 접종률 높일 인센티브 빨리 내놔야
입력 2021-05-22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