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김(사진)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은 19일(현지시간) 한국이 코로나19 백신 제조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한·미 친선 비영리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의 토머스 번 회장과 온라인 대담에서 “한국이 6∼9개월 내로 코로나19 백신의 아시아 제조 허브가 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갖췄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한국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를 계기로 2025년까지 백신 자급률을 80%로 끌어올리는 자체 계획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 백신 등을 한국 기업에서 생산한다”며 “한국의 바이오 과학기술 기업들은 매우 빠르게 아주 고품질의 생산을 전환할 수 있다. 아주 많이 공헌할 수 있고 미국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매우 좋은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김 사무총장은 한국 기업들이 안동과 화성에 백신 공장을 짓는 데 3억 달러를 투자한 사실도 언급했다.
김 사무총장은 다만 백신 지식재산권 보호 면제에 대해선 “백신 개발 노하우를 공유하더라도 (당장) 공급난 해소에는 별 도움이 안 될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는 “6~9개월 정도는 백신이 부족하겠지만 각 기업이 제조를 늘리고 있어 사용 가능한 백신이 극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