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사진) 전 검찰총장의 5·18민주화운동 메시지를 둘러싼 논쟁이 18일에도 계속됐다.
청와대 대변인 출신인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 전 총장을 ‘전두환 장군’에 비유하며 비판했다. 김 의원은 “(전두환은) 자신이 끔찍이도 사랑하는 ‘하나회’를 지키기 위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에 선공을 날렸다”며 “윤 전 총장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겁도 없이 검찰 권력에 개혁의 칼날을 들이대니 조국을 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윤 전 총장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조국만 도려내겠습니다’라고 보고했다고 하니, 당시만 해도 ‘역심’까지 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윤 총장은 서초동 ‘조국 대첩’을 거치며 ‘어차피 호랑이 등에 탔구나’ 싶었을 것이고, 울산시장 선거사건, 월성 원전사건 등 명분을 축적한 뒤 ‘전역’하고 본격적으로 대선판에 뛰어들었다”고 말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MBC 라디오에 출연해 “(윤 전 총장의 메시지가) 너무 단순한 것 같은 생각은 든다”고 평가절하했다. 이어 “검찰이 과거에 노무현 전 대통령 가정을 소탕하듯 (수사)한 것은 뭐라고 설명할 것인가 의문은 계속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지난 16일 “5·18은 현재도 진행 중인 살아 있는 역사”라며 “어떠한 형태의 독재와 전제든 이에 대한 강력한 거부와 저항을 명령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여권의 비판이 계속되자 윤 전 총장의 죽마고우인 이철우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해명에 나섰다. 이 교수는 “윤 전 총장은 ‘5·18이 우리 국민에 널리 공유된 역사 기억으로써 교육적인 의미를 띠고, 다음 세대도 계속 기억해주면 좋겠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