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19 백신 2000만회분을 6월 말까지 다른 나라들에 보낼 계획”이라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AP통신은 “미국이 이번에 지원할 백신은 화이자·모더나·존슨앤드존슨 백신”이라며 “미국 내에서 접종이 허가된 백신을 미국이 다른 나라들과 공유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오는 21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백신 공급 대상국에 한국이 포함될지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우리 정부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백신 협력을 최대 현안으로 상정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지원 대상국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의 백신을 지원받을 나라들은 며칠 이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지원 대상국에 뽑히더라도 바이든 대통령이 언급한 화이자·모더나 등 백신의 공급 물량이 2000만회분이라 다른 나라들과 나눌 경우 백신 확보량이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현재까지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한국이 미국 정부나 미국 제약회사로부터 백신을 직접 공급받거나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을 국내에서 위탁생산(CMO)할 것이라는 방안들이 거론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미국이 확보한 백신을 미리 받은 뒤 나중에 되갚는 ‘백신 스와프’를 추진한다고 밝힌 상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백신 해외 지원과 관련해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민주주의의 무기고’였던 것처럼 코로나19와의 전투에서 미국은 전 세계를 위한 ‘백신의 무기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과 러시아 같은 나라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백신을 영향력 확대를 위해 활용하려고 한다”면서 “미국은 다른 나라들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우리의 백신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P통신은 “미국이 해외에 백신을 지원하는 것은 백신 접종에 대한 미국 내 수요가 급격히 줄어든 데다 백신의 해외 불균형이 더욱 명백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