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인간의 뇌처럼 작동하는 ‘초거대 AI’에 3년간 1억 달러(약 1130억원)을 투자한다. LG는 구광모(사진) 회장 취임 이후 AI(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미래 신사업의 근간에 AI가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LG의 AI 전담조직 ‘LG AI연구원’은 1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AI 토크 콘서트’에서 향후 3년간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확보 및 개발에 1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초거대 AI는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특정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종합적이고 자율적으로 사고, 학습, 판단, 행동하는 인간의 뇌 구조를 닮은 AI이다. 연구원은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수준의 AI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는 구 회장 취임 후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을 추진해 왔는데 그 핵심에 AI가 있다. 가전 뿐만 아니라 로봇, 자동차 부품 등 LG의 미래 신사업에 AI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지금까지 딥러닝 기술 기반의 디지털 휴먼,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챗봇 개발, 항암/백신 신약 후보 물질 개발, 대용량 배터리 용량 및 수명 예측, 컴퓨터 비전 기반 검사 공정 자동화, 부품 및 제품 수요 예측 등에도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왔다.
연구원은 나아가 디자이너와 협업이 가능하고 제품 디자인 및 상품 내부 설계를 할 수 있는 ‘창조적 초거대 AI’도 개발한다.
예를 들어 ‘슈퍼카를 닮은 로봇 청소기 디자인’이라는 내용을 입력하면, AI가 해당 디자인 시안 수백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디자이너는 AI가 만든 시안을 기반으로 디테일한 디자인과 설계를 할 수 있다. 지난해 말 출범한 AI연구원은 LG AI 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1976년생인 배경훈 상무를 AI연구원장으로 임명하는 등 젊은 리더들을 전면에 내세웠다. 2023년까지 1000명의 AI 전문가를 육성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구 회장은 “AI연구원이 그룹을 대표해 기업 스스로의 변화와 혁신의 방법을 발전시켜나가는 핵심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LG는 유망 AI 기업 투자에도 나서고 있다. 구 회장 취임 이후 설립된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지난해 4분기에만 AI 스타트업 3곳에 투자를 진행했다. AI 관련 기업이면 제조, 전장, 검색, 의학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투자하고 있다. 계열사들도 AI 역량 강화에 한창이다.
LG전자는 2017년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인공지능연구소를 신설했다. LG CNS는 2019년 4월 AI빅데이터 연구소를 설립해 제조, 유통, 금융 분야 고객사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도 AI 담당 조직을 구성해, 언어인식, 영상인식, AI플랫폼 등 통신 데이터 기반의 AI 기술 적용 확대에 나서고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