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거래절벽’이 계속되는 상황에도 증여는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면서 수증(증여를 받음)자 연령대도 낮아지고 있다.
정부가 세금을 잇달아 강화하면서 다주택자가 주택을 일찌감치 증여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30대는 주택 매매뿐만 아니라 증여에서도 주택 시장을 주도하게 됐다.
17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주택 증여건수는 1만6641건으로 2월(1만909건)에 비해 크게 늘었다. 주택 증여는 지난해 7월(2만1499건)과 12월(1만7785건)에 더 많았다. 하지만 당시 전체 거래량이 20만2351건, 21만8696건으로 폭증했던 것과 비교하면 지난 3월 전체 거래량은 14만7786건에 불과했다. 거래절벽 상황에서 증여 비중은 되레 증가한 것이다.
정부가 보유세 강화 방침을 연이어 밝히자, 다주택자들은 세금 우회 수단으로 증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정부가 증여 취득세를 높이는 등 대책을 마련했지만, 증여 열풍은 계속됐다. 세금을 더 내는 한이 있더라도 주택을 보유할 만큼 시장 상승세가 매서웠기 때문이다. 재산세 부과기준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아직 발표되지 않은 4월 이후 통계에서도 증여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증여자와 수증자 연령대도 점점 어려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서울지역 집합건물(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상가, 쇼핑몰 등 한 동의 건물 가운데 구조상 구분이 된 여러 개의 독립된 부분을 사용·소유할 수 있는 건물)의 증여로 인한 소유권 이전등기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전체 수증인 중 40대 미만이 47.4%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4월 대비 9.4%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면 40~50대와 60대 이상 수증인 비중은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5% 포인트, 6.9% 포인트 감소했다. 최근 5년간 집합건물 수증인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2020년 1분기까지는 40~50대 비중이 가장 우세했으나, 2분기부터 40대 미만이 크게 상승하며 역전됐다.
업계에서는 과거와 달리 세금 회피 목적의 증여가 늘면서 증여자와 수증자 연령대가 모두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