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중소 조선소의 어려움 극복과 미래 조선산업 육성을 위해 향후 6년간 2조원을 투입한다.
경남도는 17일 거제시청에서 2027년까지 2조1757억원을 투입하는 ‘경남도 조선산업 활력대책’을 발표하고 ‘1호 사업’으로 250억원 규모의 조선업종 상생협력 특례자금 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활력대책은 ‘세계 1위 조선해양산업 강국’을 비전으로 삼고, 중소 조선소와 기자재 업체의 ‘어려움 극복대책’과 ‘미래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실현하는 체계로 짜여있다.
1호 사업으로 시행에 들어갈 조선업종 상생협력 특례자금은 금융지원을 통해 일감 부족과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내 조선해양기자재 업체들이 활력을 회복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재원은 경남도와 대우조선해양, 경남은행이 경남신용보증재단에 50억원을 출연해 조성됐으며, 경남신용보증재단은 출연금의 5배인 250억원 이내에서 특례보증을 지원한다.
조선기자재 업체 활력 회복에는 고용안정과 기술개발, 금융지원, 수주지원 등으로 1864억원을 투입한다. 5월 말 끝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연장을 정부에 건의하고,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등 고용안정과 LNG 전문 엔지니어 인력양성 등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또 대·중·소 조선소 간 연계협력을 통해 LNG 기자재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성능시험 인증 장비 사용료 및 시제품 제작 지원도 확대한다.
중소형 조선업 생태계 유지 및 경쟁력 강화도 집중 추진한다. 1564억원을 들여 중형 조선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야드 안정화, 고용안정,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안정적 야드 운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LNG운반선 수리물량 확보, 대형블록 제작을 통한 야드 가동률 향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제해사기구의 선박 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조선산업에 대비하기 위해 ‘저탄소 선박’과 ‘무탄소 선박’ 산업을 본격 육성하는데 4192억원을 집중 투입한다.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경남 조선업의 재도약을 이끈다는 복안이다. 무인선박과 특수선박 등 차세대 선박산업 육성과 야드 스마트화에도 1280억원을 투입한다.
김경수 지사는 “조선산업과 경남은 운명공동체”라며 “조선산업 수주는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산업 전체가 정상화되는데 1~2년이 걸리고,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친환경 선박 및 LNG선 부품 국산화 노력과 함께 생산전문인력의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