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며 불안감 조기 차단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13일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를 열고 미국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발표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우리 경제·금융시장에 대한 파급영향 등을 점검했다.
이억원(사진) 기재부 1차관은 “미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공급 부족, 이연 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 견고한 대외신인도 등을 감안하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앞서 TBS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한 것에 대해 “지난해 4월이 굉장히 낮아 기저효과가 있어서 거시 전체적으로 봐야 하는 측면이 있다”며 “농산물의 경우 기록적인 장마, 한파,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겹쳐서 올랐는데 신작물이 나오면 풀리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2021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상회할 수 있겠지만, 지속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최근 국제유가 급등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수요 측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히 미약하다는 것이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7%로 지난해 11월(0.7%)보다 상향 조정했다. 다만 내년에는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상승폭이 1.1% 정도로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