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 만에 입 연 5·18 계엄군… “시위대에 조준사격 했다”

입력 2021-05-13 04:07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을 향해 조준 사격을 했다는 계엄군의 진술이 나왔다.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12일 조사 개시 1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위원회 대강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980년 당시 광주에 투입된 장병들을 대상으로 의미 있는 진술을 다수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시민군 등 피해자를 중심으로 제기된 계엄군의 조준 사격 정황을 가해자 측에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조사위는 강조했다.

조사위가 확보한 진술에 따르면 제3공수여단은 1980년 5월 20일 오후 10시 이후 광주역, 22일 이후 광주교도소 감시탑과 건물 옥상에 M60 기관총을 설치하고, M1 소총에 조준경을 부착해 시민들을 살상했다. 제11공수여단도 같은 달 21일 전남도청 앞 집단 발포 직후 금남로 건물 옥상에 저격수를 배치해 시위대를 조준 사격했다. 조사위는 전문가들과 전문기관에 관련 진술 내용 조사를 의뢰하고 추가 정밀 분석을 진행한 뒤 최종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조사위는 당시 계엄군이 광주봉쇄작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에 관한 진술도 확보했다. 작전 당시 광주교도소를 오가는 차량과 민간인들을 상대로 무차별 사격이 가해지는 등 최소 13차례 이상의 차량 피격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위는 보고 있다. 증언에는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신혼부부를 사살한 것과 앰뷸런스 차량을 사격했다는 진술도 포함됐다.

총격으로 발생한 민간인 시신을 처리한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 중이다. 조사위는 “광주봉쇄작전에서 사망한 이들 중 최소 55구가 확인되지 않아 추적 중”이라며 “계엄군이 현장에서 암(가)매장을 지시했다는 증언 등을 확보해 관련 내용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5·18진상규명특별법에 명시된 11개 법정과제 가운데 7개 법정과제, 5·18민주화운동 당시 최초 발포와 집단 발포 책임자 조사를 포함한 12개 직권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위는 “광주에 투입됐던 2만353명의 계엄군 중 10%에 해당하는 2000명 이상의 유의미한 증언 확보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