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비를 대폭 낮추고, 거주기한 제한을 완화하는 등 충남도의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사업’이 어촌마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충남도는 2016년 전국 최초로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사업을 도입한 이후 5년 만에 신규 어촌계원 수가 500명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업 시행 이후 도내 어촌계 신규 가입자는 2016년 270명을 기록한 뒤 2017년 73명, 2018년 50명, 2019년 23명, 지난해 116명이 유입되는 등 지난해 말까지 총 532명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보령시 254명, 당진시 86명, 태안군 80명, 서천군 51명, 서산시 40명, 홍성군 21명 순이다.
어촌계 진입장벽이 완화되자 경제적 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보령시 군헌어촌계의 경우 가입비를 20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낮추고 거주기간 제한을 없앴다.
그 결과 기존 180명이었던 어촌계원의 수가 367명으로 2배 넘게 늘었다. 특히 진입장벽 완화 사업 첫해 마을어업 공동작업 소득 증대, 바지락 교육 체험장 관광객 수 증가 등의 성과를 거뒀다.
최근 열린 ‘2020년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지원 사업 우수어촌계 시상식’에선 당진시 교로어촌계가 최우수상을, 태안군 마금어촌계가 우수상을, 서산시 도성어촌계는 장려상을 수상했다. 도는 교로어촌계에 1억원, 마금어촌계에 8000만원, 도성어촌계에 6000만원을 지원키로 했다.
조원갑 충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사업은 신규 어촌계원 증가와 소득 증대, 체험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며 어촌마을의 새로운 활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