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의 대학발전협력단이 광주에서 출범했다. 생존의 갈림길에 선 지역대학이 안정적 순항을 위한 돌파구를 찾게 될지 관심을 모은다.
광주지역 17개 대학과 광주시, 시 교육청 등으로 구성된 협력단이 12일 광주시청에서 현판식과 함께 본격 업무에 들어갔다. 대학교육을 지방행정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대학의 체질을 개선하고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이 항구적 공존·공영의 지름길을 찾는 이색 실험에 돌입한 것이다.
협력단은 일단 시 공무원 3명, 시 교육청 공무원 1명, 전남대·조선대·광주대·호남대·동강대에서 각각 1명씩 파견한 대학 직원 5명 등으로 구성됐다. 내년 1월부터는 ‘과’ 단위의 전담 부서를 운영한다. 대학협력팀과 산업협력팀 등 2개 팀 16명으로 구성된 가칭 대학발전협력과를 새로 둔다. 이를 위한 행정안전부 조직개편 승인을 이미 마쳤다.
협력단은 행정기관과 대학의 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끄는 구심점을 만드는 게 최종 목표다.
이를 위해 각 대학 실태조사를 토대로 시의 10여 개 부서에서 분담해온 대학 관련 28개 사업을 총괄·조정하고 관계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한 민관협력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또 캠퍼스별 순회 포럼을 개최해 대학별 강점과 현황을 파악하는 등 장기 발전방안 수립에 관한 공감대를 넓혀갈 계획이다.
인공지능과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건강관리, 문화콘텐츠 등 지역 핵심 전략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과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각 대학의 혁신 전략도 꾀한다.
지역 대학들이 직면한 신입생 부족과 졸업생 취업난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대학별 특성에 맞는 대책을 세부적으로 마련하고 연차별 발전전략도 수립한다.
시는 협력단 운영이 정상궤도에 접어들면 각계 민간 전문가로 가칭 ‘지역 대학 위기 대응 위원회’도 별도 구성한다.
김혁종 광주대 총장은 “협력단은 각 대학과 시가 공동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젊은이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고도 행복한 삶을 꾸려나가도록 하자는데 의견이 일치한 성과물”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