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이른바 여권 ‘빅3’의 대선 행보가 본격화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경선 연기론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경선 연기에 대한 후보 간 셈법이 달라 자칫 경선 시작 전부터 캠프 간 충돌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친문(친문재인) 재선인 전재수 의원은 6일 페이스북에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연기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전 의원은 “국민이 1년 이상 코로나바이러스와 전쟁을 치르며 지쳐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대선후보 경선을 진행한다면 민주당만의 리그가 될 것”이라며 “대선 180일 전에 이미 후보를 만들고 국민의힘의 후보경선 과정을 멀뚱멀뚱 쳐다만 봐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특정 계파나 후보 입장에서 볼 문제가 아니다. 지도부와 후보가 모여 심각하게 논의해야 한다”며 “이런 생각에 동의하는 의원이 굉장히 많다”고 했다.
정 전 총리와 이 전 대표 측은 “당 결정을 따르겠다”면서도 여지를 열어뒀다. 정 전 총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략과 전술은 당 차원에서 알아서 판단하면 된다. 선수들은 룰에 따라 최선을 다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 측에서도 ‘당 결정을 따르겠지만 지금 같아선 경선 연기가 불가피하지 않으냐’는 얘기가 나온다.
반면 이 지사 측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4·7 재보선 때도 당헌을 바꿔 후보를 공천했는데, 대선 경선 룰을 바꾸면 국민 신뢰를 받을 수 있겠느냐는 논리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