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에 대해 세액공제 확대를 검토한다. 세제 혜택이 구체화하면 삼성전자 등 국내 업체의 투자 선택지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경기도 판교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열린 혁신 성장 빅3 추진 회의에서 “반도체 R&D와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인센티브를 앞세워 삼성전자 등 전 세계 반도체 기업에 러브콜을 보내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대기업 세액공제는 일반 R&D의 경우 투자액의 0∼2% 수준이다. 신성장·원천기술 R&D 투자를 했다면 투자액의 20∼30%를 세액공제 받는다.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공제 규모에 따라 삼성전자가 반도체 투자 결정을 할 때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향후 투자를 확대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혜택이 있는만큼 더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대만 TSMC, 인텔 등이 대규모 투자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삼성전자도 조만간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파운드리를 하는 TSMC나 중앙처리장치(CPU)가 주력인 인텔은 각자 주력 분야가 뚜렷한 반면 삼성전자는 투자 영역이 훨씬 넓어서 그만큼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는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외에 파운드리, 이미지센서, 시스템 반도체 등을 두루 하는 종합반도체 업체다.
삼성전자는 미국 오스틴 신규 파운드리 공장에 17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고려 중이다. 투자 인센티브, 법인세 감면 등 세부 조건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평택 P3 라인 투자도 확정해야 한다. 또 최근 차량용 반도체 기업 NXP 인수설까지 불거졌다. 어디에 얼마만큼의 투자를 하느냐가 미래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는 만큼 삼성전자의 고민은 깊을 수밖에 없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는 투자 규모와 시기가 승패를 결정짓는 분야”라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부재로 결정 시기가 늦어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