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180만 모든 도민에게 다음 달 말부터 1인당 10만원씩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전북도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추경 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송하진 도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보편적 재난지원금 추경 편성은 방역과 경제의 성공적 공존만이 전 분야의 일상 회복을 앞당기는 길이라는 판단을 내리고 보편 지원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송 지사는 이어 “지원 방식에 대해 많은 논의와 숙고를 거쳤다”며 “그간 여러 차례 선별 지원했기 때문에 도민 모두를 아우르는 고른 소비활동이 민생회복에 큰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보편 지원을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소요 예산은 지원금 1800억원과 행정경비 12억원을 합쳐 1812억원이다. 재원은 전년도 순세계잉여금 800억원과 지역개발기금 1000억원 등이다. 일선 시 군의 재정형편 등을 감안해 전액 도비로 추진한다.
이번 지원의 생산유발효과는 지원액의 약 1.8배인 3263억원에 이를 것으로 도는 전망했다. 도는 지난해 5월 정부에서 지원한 4인 가족 기준 100만원 지원시 도내 카드 매출액이 전월대비 18%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재난지원금은 선불카드로 지원된다. 사용 기간은 6월 말부터 9월 말까지로 3개월이다. 기간이 지난 후에는 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고 전액 소멸된다. 주소지가 있는 시 군에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 유흥업소와 백화점, 대형마트 등은 제외한다.
신청과 교부장소는 주민등록지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다. 가구주나 세대원이 일괄 신청하고 수령할 수 있다. 방문이 어려운 사람들에겐 복지센터에서 직접 찾아가 지급해주기로 했다.
송 지사는 “재난지원금이 목표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선 신속한 추진, 정확한 지급, 편리한 이용이 전제돼야 한다”며 “행정력을 총동원해 최대한 신속히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추경안에는 지역 정착기반이 약한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월 30만원씩 지원하는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 확대를 위한 11억원이 추가 반영됐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