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의 화성 식민지 계획이 실현되는 것일까. 민간 우주항공업체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이 4전5기 끝에 발사 후 무사귀환에 성공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스페이스X가 화성 이주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우주선의 시제품인 스타십이 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기지를 출발한 뒤 다시 직립으로 착륙했다.
50m 높이에 달하는 스타십은 이전 4차례 실험에서 화염 속에 산산조각 나는 참패를 맛봤다. 스타십은 작년 12월, 올 2월 1, 2차 시험 때 경착륙으로 폭발했다. 3월 3차 시험 때는 착륙한 지 몇 분 뒤 폭발했으며 같은 달 4차 시험 때는 공중에서 산산조각 났다.
이번 시험 성공은 스페이스X가 재활용이 가능한 태양계 탐험 수단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나아가 태양계 다른 행성인 화성에 인류를 이주시킨다는 계획을 실현해가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도 평가된다.
스페이스X 창업자 머스크는 화성 식민지와 함께 인류를 여러 행성에서 거주하는 존재로 만든다는 꿈을 꾸고 있다. 머스크는 시험이 끝난 뒤 트위터를 통해 “스타십이 정상적으로 착륙하고 있다”고 적었다.
스타십의 마지막 버전은 유인 우주선과 슈퍼헤비로켓을 결합해 재활용이 가능한 도구로 태양계 깊숙한 곳을 탐험하는 것이다. 그의 실험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나사·NASA)은 달에 다시 사람을 데려갈 때 스타십 기종 가운데 하나를 쓸 것이라고 지난달 발표한 바 있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블루오리진도 민간인 승객을 태운 우주관광 로켓 ‘뉴셰퍼드’를 7월 20일 발사하기로 했다. 아폴로 11호가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뒤 52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이 로켓은 최대 6명이 탈 수 있는 유인 캡슐과 부스터로 구성된다. 블루오리진은 유인 캡슐의 좌석 1석을 일반인에게 판매할 예정이다. 이 로켓은 시험비행에서 카르만 라인(지구 대기권과 우주의 경계선)인 고도 100㎞ 이상까지 날아올랐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