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요 재건축 단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재건축 단지 밀집 지역 아파트값은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역 발효 전 막판 거래가 가격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발표한 5월 첫째주(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9% 오르며 지난주(0.08%)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 매주 조금씩 떨어지며 지난달 첫째주 0.05%까지 낮아졌으나 4·7 보궐선거 직후인 지난달 둘째주 반등하며 4주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하면서 재건축·재개발 규제완화를 내걸었던 만큼 이와 관련이 있는 지역들이 매매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인 곳은 4주 연속 노원구(0.21%)가 차지했다. 노원구는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서 벗어나며 상계·중계동 등 재건축 단지와 중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다. 압구정, 여의도, 목동 등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재건축 투자 수요가 노원구로 옮겨붙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뒤를 이어 서초·송파·영등포구(0.15%), 강남구(0.14%), 양천구(0.12%)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초구는 반포동, 송파구는 문정·방이동, 영등포구는 여의도동의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다만 이날 발표된 수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거래된 물량이기 때문에 규제의 효력이 없다고 판단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다음주까지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2주쯤 후에는 거래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상승세도 가라앉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