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지지율 추격전에 들어간다. 스스로 ‘친문 적자’임을 부각하며 문재인 대통령 적극 지지자의 마음을 공략하는 전략이다. 정책으로는 트레이드마크인 ‘신복지 구상’과 함께 신경제, 신교육 등 이른바 ‘신(新) 시리즈’를 띄운다.
4·7 재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잠행을 이어온 이 전 대표는 4일부터 공개활동을 재개하면서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는 5일 ‘이낙연TV’ 대담에선 의무복무를 한 남성들에게 군 가산점 대신 인센티브를 주자고 제안했다. 그는 “징집 남성들은 제대할 때 사회출발자금 같은 것을 한 3000만원 장만해서 드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모병제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가는 것이 지금 단계에서는 가장 합리적 해법”이라고 했다. 오는 10일에는 ‘연대와 공생의 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해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를 주제로 자신의 국가비전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 전 대표의 대권 전략은 ‘문재인 수호’를 내건 친문(친문재인) 지지층 구애와 ‘합리·온건 정책’을 통한 외연 확장 추구로 요약된다.
‘문재인정부 초대·최장수 국무총리’ 타이틀은 이 전 대표에게 쥐어진 정치적 종잣돈이다. 이를 ‘문재인정부의 정통성’으로까지 확장해 친문 표심을 흡수한다는 게 이 전 대표 측의 전략이다. 이 전 대표가 친문 지지층이 붙여준 별칭인 ‘여니’로 자리매김하려 안간힘을 쓰는 이유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 전 대표 측은 최근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여니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이벤트를 열었다.
대선 행보는 ‘문재인의 길’을 철저히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이달 말 자신의 정책구상을 담은 책을 낼 예정이다. 2017년 1월 대선 직전 문 대통령이 출간한 ‘대한민국이 묻는다’와 비슷한 형식이며, 작가도 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표 측은 늦어도 6월 중순까지 20%대 지지율을 회복하는 것을 당면 과제로 삼았다. 오는 9월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 전 역전을 기대해볼 만한 현실적인 수치다. 지난해 4월 40%를 돌파했던 대선주자 지지율(리얼미터 기준)은 이달 한 자릿수까지 떨어진 상태다.
역전의 불씨는 30%대의 견고한 방어막을 치고 있는 ‘문 대통령 지지층 흡수’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친문 권리당원의 힘이 지난 5·2 임시 전대에서 확인된 만큼 대선 경선 승부처 역시 권리당원 확보가 될 수밖에 없는 구도다.
이낙연계 한 의원은 5일 “최근 이재명 경기지사의 본선 경쟁력에 베팅하는 당원들이 많아졌다”면서도 “일단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이 반등해 다시 한번 본선 경쟁력을 입증한다면 당심도 자연스레 뒤따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전 대표는 정책 캐치프레이즈로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정성’을 강조해 이 지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신복지는 이 지사의 ‘기본소득’과 상대되는 복지정책이다. 기본소득이 보편적 복지에 초점을 맞췄다면 신복지는 선별적 복지에 더 가깝다. 이 전 대표는 신복지에 대해 “기본소득론보다 좀 더 종합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더 크다”고 평가한 바 있다.
신경제는 이 전 대표의 ‘포용’ 철학이 담긴 경제정책이 될 전망이다.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맞추고 양극화를 완화하는 데 방점을 찍는다. ‘40~50년 만기 장기모기지 대출’이 대표적 사례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출발선에 선 여당 대선주자들]
▶①-1
▶①-2
▶②-2
▶③-1
▶③-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