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오수 검찰총장 후보자가 검찰 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조직 안정’을 꼽았다. 검찰에서는 곧바로 “인사 정상화 여부가 관건”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검찰이 ‘라인’과 ‘측근’들로 나뉘어 갖은 갈등을 벌여온 원인이 인사였고, 이러한 편 가르기를 타파할 방안도 인사라는 것이다. 한 검찰 고위 관계자는 “인사를 바로잡지 않고는 조직 안정이 불가능하다”고 풀이했다.
정치적 중립을 입증하고 후배들의 신뢰를 구해야 할 김 후보자에게 검찰 인사는 조직에 전하는 첫 메시지가 된다. 이 메시지가 약속처럼 조직 안정이 될 것인지 또다시 ‘친정권 중용’의 반복일 것인지는 아직 예측하기 어렵다. 김 후보자는 일단 본인이 조사를 받았던 수원지검의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불법 출국금지 의혹 사건 수사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후보자 신분으로 검찰이 진행하는 수사 사건들의 보고도 받지 않겠다고 거리를 뒀다.
김 후보자는 4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단이 있는 서울고검 청사로 출근하며 “총장으로 임명된다면 무엇보다 조직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내부 구성원과 화합해 신뢰받는 검찰, 민생 중심의 검찰, 공정한 검찰이 될 수 있도록 소통하고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가장 중요한 일은 조직 안정이라고 반복해 언급했다.
총장의 당연한 덕목을 언급한 것이었지만, 법조계는 결국 검찰 인사를 염두에 둔 발언이라고 해석했다. 한 검찰 간부는 “현재 검찰의 분위기가 워낙 어수선해져 있다”며 “그간 말이 많던 인사를 어느 정도 정상화하겠다는 선언이 아니겠냐”고 해석했다. ‘친정권’을 중용하던 관행이 바로잡히는지 여부가 관건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한 중견 변호사는 “방대한 검찰 조직이 최근처럼 노골적 인사에 시달리고 검사들이 불만을 터뜨리던 때가 없었다”고 말했다.
신임 총장이 취임할 때마다 으레 있던 검찰 특유의 ‘용퇴’는 이번엔 보기 힘들 전망이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보다 사법연수원 3기수 선배이며, 고검장들 가운데 김 후보자보다 선배이거나 동기인 이들도 없다. 하지만 고위직 잔류로 승진 요인이 적더라도 ‘수평 이동’은 활발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한 검찰 고위 관계자는 “검사장이든 중간간부급이든 대부분이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궁극적으로는 이 인사로 사건처리 갈등을 끊어내야 조직이 안정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검찰은 최근 1년여간 수사팀과 지휘부 간의 이견 때문에 여론의 주목을 받아 왔다. 수사팀의 결재 요청을 지휘부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잡음도 여러 사건에서 있었다. 정권을 겨냥한 비리 수사가 재차 펼쳐질 경우 김 후보자가 과연 후배들의 바람막이 역할을 해줄 것인지 의문이라는 시선도 여전하다. 한 검찰 간부는 “우려처럼 ‘방탄 총장’이 될지 약속처럼 조직 안정을 이룰지는, 인사청문회 답변과 향후 인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일선 수사 등 현안을 보고받지 않겠다”고 명확히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차기 총장이 내정됐을 때 인사청문회 준비를 돕는 차원에서 주요 현황이 보고되는 관행이 있었지만 선을 그은 것이다. 그는 본인이 조사를 받았던 수원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이정섭)의 김 전 차관 사건에 대해서도 앞으로 보고받지 않을 예정이다. 향후 총장으로 취임하게 되더라도 “법령과 규정에 따라 정확하게 회피할 것”이라는 게 김 후보자의 입장이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