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사진)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일본 언론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오만함 때문에 야당인 국민의힘을 돕게 됐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3일 공개된 일본 산케이신문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권 탄생에 공헌하고도 입장을 바꿔 야당 재건에 합류한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여당은 정권을 잡은 뒤 ‘20년 동안 집권을 이어가겠다’고 하는 등 오만방자한 발언이 많았다”며 “여당이 안 되겠다 싶으면 야당을 선택하는 게 민주주의의 좋은 점이다. 균형을 위해 돕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이 10년 동안 계속되면 과거의 방식에 사로잡혀 시대에 적응할 수 없게 된다”며 “자민당이 계속 집권해 역동성을 잃어가는 일본에도 적용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차기 대권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6~7월에는 선거전의 윤곽이 드러나게 된다. 지금 시점에 내가 할 얘기는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대선 경선에 나갔기 때문에 지명도가 있어 앞서가고 있다”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지만 출마 의향을 본인이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 두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기 대선 주자를 도울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다음 대선은 나라의 미래가 달린 중요한 선거”라면서도 “내 나이가 80이 넘었다. 슬슬 인생을 즐겨야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말 훌륭한 사람이 나와 대통령이 되겠다고 하면 모든 것을 걸고 도울지 모르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절대 안 할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한·일 관계 해법에 대해서는 “문제는 복잡하게 꼬였고 해결은 차기 정부에서 하는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일본의 태도도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도 가해자의 입장에 서서 피해자(한국)에게 양보하기를 바란다”면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위안부 피해자에게 편지를 보내는 등 사과하는 방안에 대해 (아베 신조 전 총리가) ‘털끝만큼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었는데 이런 태도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