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회담 앞 대북전단 암초… 문 대통령 어깨 무거워졌다

입력 2021-05-03 04:06

오는 21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북전단 암초’를 만난 문재인 대통령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탈북단체가 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을 어기면서 대북전단을 살포하고, 북한이 이에 강하게 반발한 상황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 북·미 대화 재개를 설득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해 전력을 다 하려던 문 대통령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2일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해 우리 정부를 비판한 것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청와대 내부적으론 예상 밖 변수로 남·북·미 대화에 차질이 빚어질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4·27 판문점선언 3주년을 맞은 지난달 27일 국무회의에서 “오랜 숙고의 시간을 끝내고 다시 대화를 시작해야 할 시간이 오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과 북·미 간에도 대화 복원과 협력의 물꼬가 트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도 바이든 대통령을 향해 북한과의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해 실제적이고 불가역적 진전을 이룬 역사적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며 적극적으로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또 “하루빨리 북·미 양국이 마주 앉는 것이 (비핵화)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도 했다.

통일부는 김 부부장 담화에 대한 입장을 내고 “북한을 포함한 어떤 누구도 한반도에서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우리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남북 간 합의 이행 및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막기 위해 노력해 왔다는 메시지를 북측에 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탈북민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달 25~29일 사이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대북전단 50만장을 살포했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