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접종관리 이렇게 허술해서야 안심하고 백신 맞겠나

입력 2021-04-30 04:02
방역당국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보고된 여러 건의 부작용 의심 사례에도 불구하고 접종의 이득이 피해보다 크고, 11월 집단면역 달성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부작용으로 인정된 4건의 경증 사례 말고는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난 게 없는 만큼 접종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단, 백신 접종에 대한 방역 당국의 사전·사후 관리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는 전제가 충족될 때 성립한다. 백신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방역당국의 관리마저 허술할 경우 접종률이 떨어지는 것은 불문가지다.

특히 건강취약계층인 노년층 관리는 더욱 엄격하고 세밀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방역당국의 장담과 달리 허술하기 짝이 없다. 백신을 접종한 79세 A씨가 이틀 동안 방치된 전북 고창 사례가 그렇다. A씨는 고창보건소에서 백신을 접종한 당일 집에서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고 하는데 이틀이 지나서야 발견됐다.

7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백신 접종은 이달 1일 시작돼 지난 22일부터 2차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고령자 맞춤형 방역규정을 마련했다. 이들이 백신을 맞을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적어도 사흘간 전화를 걸거나 현장을 방문해 상태를 살피도록 했다. 하지만 A씨가 세 차례나 전화를 받지 못했는데도 해당 지자체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명백한 방역규정 위반이다. 이로 인해 A씨는 중태에 빠졌다고 한다.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다. 책임 소재를 가려 그에 걸맞은 책임을 물어야 한다.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도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잘 안다. 업무량에 비해 인원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모르는 바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관리 부실의 핑곗거리가 될 수는 없다. 사전 관리 또한 허술하기는 마찬가지다. 백신 접종 예정일 전날 밤에 부랴부랴 접종 연기·보류를 통보하는 일도 여러 차례 있었다.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같은 당근책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게 철저한 관리, 감독이다. 그렇게 해야 한 사람이라도 더 무고한 피해와 희생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