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굴욕 준 미 해군, 이번엔 항모전단 한가운데 항해

입력 2021-04-29 04:07
1번은 중국 해군 항공모함 랴오닝함. 2∼5번은 랴오닝함을 호위하는 항모전단. 6번이 미 해군 구축함. 트위터 계정 OSINT-1

미국 해군이 이달 들어 벌써 두 번이나 중국의 자존심을 긁었다. 미 해군 구축함이 대만에서 가까운 필리핀해에서 중국이 자랑하는 랴오닝함 항공모함 전단 진형 한가운데까지 밀고 들어간 위성사진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례적이라는 반응과 함께 미군이 중국군에 공개적으로 실력을 과시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28일 홍콩 빈과일보와 대만 타이완뉴스 등에 따르면 세계 각지의 군함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트위터 계정 OSINT-1은 미 구축함이 대만 동부 해안으로부터 동쪽으로 200여㎞ 떨어진 필리핀해에서 중국군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을 바짝 뒤쫓는 것으로 보이는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26일 촬영된 이 위성사진에는 미군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1척이 랴오닝함 등 5척으로 구성된 중국 항모 전단의 한가운데서 항해하는 모습이 보인다. 당시 랴오닝함은 필리핀해에서 동중국해로 이동하는 관문인 미야코 해협 방향으로 향하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사 전문가들은 미 구축함의 이번 움직임이 이례적이라면서 미군이 중국군에 공개적으로 힘을 과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대만 군 장교는 빈과일보에 “이것은 고수의 행동”이라며 “미 군함이 중국군에 실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마카오의 군사 전문가 황둥은 “미 군함이 대놓고 랴오닝함 항모 전단 사이에 뛰어든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중국 호위함의 명백한 임무 실패”라고 평가했다.

중국에서는 미 구축함이 중국 항모 전단 진형 한복판에 들어간 행동은 도발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홍콩 군사 전문가 량궈량은 “미군의 행동은 도발적”이라며 “이런 행동을 벌인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홍콩 명보는 누리꾼들이 이 함정을 랴오닝함을 근거리에서 추적하며 굴욕을 안겼던 머스틴함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11일 미 해군은 머스틴함의 지휘관이 선박 난간에 다리를 올린 채 랴오닝함을 가까이서 바라보고 있는 사진을 공개해 화제를 낳았다. 이 역시 중국군에게는 큰 굴욕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