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의 언론자유 침해 시도가 도를 넘고 있다. 최근 잇따른 언론관계법 개악 시도에 이어 이번에는 정부 뉴스 포털을 만들어 한정된 뉴스만 노출시키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은 27일 국회 토론회에서 현재의 인터넷 포털 뉴스에 문제가 있다며 정부 기금으로 별도 뉴스 포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 포털은 정치인의 막말을 자극적으로 다룬 기사들을 많이 노출시켜 정치적 담론의 장을 타락시킨다는 이유에서다. 김 의원은 “현 포털은 질 낮은 기사로 악취가 난다. 질적 하향 평준화와 보수화가 겹쳐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 포털에서 심층·탐사보도 등 질 높은 기사를 많이 노출시키자”고 제안했다.
그런데 국민에게 한정된 기사만 제공하겠다는 김 의원의 발상 자체가 위험하기 그지없다. 마치 ‘국민은 정부 포털에서 주는 대로 받아먹으라’는 것으로 들려서다. 국가가 국민생활을 지나치게 간섭하는 전체주의적 발상과 뭐가 다른가. 정부는 돈만 대고 시민단체·학계·언론사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포털에 내보낼 뉴스를 고르게 하겠다지만 이 역시 제3자가 추린 뉴스를 보라는 것이어서 뉴스 소비권을 침해하기는 마찬가지다. 편집위 멤버에 따라선 과거의 ‘대한뉴스’가 되지 말란 법도 없다. 김 의원은 또 언론이 정치인 막말을 자극적으로 다룬다고 했는데, 정치권이 애당초 막말을 안 하면 그런 뉴스 자체가 없을 것이다. 더구나 지금 막말을 앞장서서 쏟아내는 정치인들이 누구인지 돌아보기 바란다.
물론 포털에 조회수를 노린 자극적인 뉴스나 갈등 조장성 기사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런 것조차도 뉴스 소비자의 안목과 언론계 내부의 자체 정화 노력에 맡겨두는 게 옳다. 게다가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기사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에 과연 기사 질의 좋고 나쁨을 일일이 따져 제때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사설] 정부 기금으로 뉴스 포털 만들자는 게 정상인가
입력 2021-04-29 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