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신 접종자 자가격리 면제… 접종률 높이는 계기되길

입력 2021-04-29 04:05
정부가 28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해 다음 달 5일부터 ‘2주 자가격리’ 의무를 면제토록 한 것은 바람직한 조치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확진자와 밀접하게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입국했더라도 ‘음성’ 확인만 된다면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기로 한 것이 특징이다. 대신 14일간 일상생활을 하면서 보건당국에 매일 본인의 몸 상태를 설명하고, 의심 증상이 나타날 때 진단검사 등 적절한 조치를 받는 능동감시를 하면서 총 두 차례 검사를 의무화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이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뒤 사지 마비 증상이 나타난 40대 간호조무사 등 부작용 의심 사례가 드러나면서 일부에서 기피 현상이 나타나자 백신 접종을 활성화하려는 방편으로 내놓은 대책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27일 0시 기준 보건의료인 접종대상자 29만여명 중 예약자는 15만4928명, 경찰 등 사회 필수인력 접종대상자 17만여명 중 예약자는 10만2475명에 불과하다. 누구보다 접종 필요성이 높은 직군에서조차 이처럼 저조하다니 접종률을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사전예약을 완료하고도 접종 장소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목격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화이자 백신 2000만명분 추가 계약 등 코로나19 백신 확보는 총 9900만명분으로 양적인 측면에선 충분하다. 이제는 확보된 물량 제때 도입과 함께 접종이 관건이다. 정부가 목표로 하는 오는 11월까지의 집단면역도 얼마나 접종이 순조롭게 이뤄지느냐에 달렸다. 국내에 허가된 백신은 과학적으로 이미 안전성이 충분히 확인됐고, 국내외 전문가들도 모두 접종의 이득이 위험보다 훨씬 크다고 밝혔다.

대통령과 국무총리를 포함한 고위공직자들도 자발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했다. 일반 국민은 과도한 불안감을 갖지 말고 접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국민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백신 접종 후유증 실태를 투명하게 공개하면서 피해 지원 등 대응 조치에 나서는 한편, 백신 접종 시 추가적인 혜택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