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토지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불거진 뒤 충북도가 자체 조사를 벌였지만 혐의점을 밝혀낸 직원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도는 지난달 22일부터 공무원 등에 대한 부동산 투기 특별조사단을 꾸려 조사한 1차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1차 결과에 포함된 조사 대상 토지는 청주 오송국가산단, 청주 넥스트폴리스, 음성 맹동인곡 산단 등 3곳이었다. 나머지 14곳에 대한 조사결과는 6월쯤 발표된다.
도는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 이들의 직계 존·비속 등 3822명을 대상으로 토지 소유여부와 토지거래 내역 등을 살펴봤다. 조사 결과 공무원과 가족 등 4명이 영농 목적의 농지를 소유하고 있었지만 성토, 수목 식재 등 투기 의심 행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조사대상자 중 36명은 전출, 퇴직 등의 이유로 이번 조사에 응하지 않았다.
토지 거래 자진신고는 현재 7건으로 취득 경위와 토지이용현황 등을 조사하고 있다. 도의원 31명과 그 가족 117명에 대해서도 토지거래 내역을 조회하고 있다. 도의원과 가족에 대한 토지거래 조회 결과는 도의회에 통보된다. 토지거래자 조치는 도의회에서 결정한다.
김장회 행정부지사는 “불법 투기 여부 조사를 위해 모든 조사 자료를 경찰청과 공유하고 불법 투기 공직자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중 조치할 것”이라며 “공직사회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더욱 신뢰받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의구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이선영 사무처장은 “조사 결과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 지 미지수”라며 “조사 대상과 범위가 제한적이라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