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대구 팔거산성에서 7세기 초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 11점이 출토됐다고 28일 밝혔다.
목간은 길이가 15∼23㎝, 너비가 2.2∼5.5㎝로, 8점에선 한쪽에 끈을 묶기 위해 나무를 잘라냈고 일부에선 실제로 묶은 흔적도 나왔다. 4점의 목간에선 임술년(壬戌年) 병인년(丙寅年) 등 간지가 발견됐다. 연구소는 임술년과 병인년을 각각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했다. 일부 목간에는 보리 벼 콩 등 곡식 이름도 등장했다.
연구소는 “목간에 담긴 내용이 곡식과 관련된다는 점, 삼국시대 신라의 지방 거점이 대부분 산성이었다는 점, 기존 신라 목간이 출토된 곳이 대부분 군사와 행정 거점이라는 점에서 팔거산성도 군사적으로 중요하면서 물자가 집중되던 거점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팔거산성은 금호강과 낙동강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7세기 초반 신라 왕경 서쪽 방어를 위한 전초기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신라의 지방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사례는 인천 계양산성, 경기도 하남 이성산성, 경남 함안 성산산성 유적 등이 있다. 대구에서 목간이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송세영 기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