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중단하지 않고 보완해 더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원순 전 시장 사망 이후 시장 권한대행이 공사를 시작한 이 사업에 대해 후보 시절 “정당하지 않고 동의할 수 없다”고 말해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행정의 연속성을 존중하기로 선회한 것이다.
이에 따라 광화문광장 중단 여부를 놓고 서울시의회 등과 증폭돼온 갈등 논란도 종지부를 찍게 됐다.
오 시장은 27일 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통해 광화문광장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그는 “서울시는 깊은 검토와 토론 끝에 광화문광장 조성 공사를 진행하되, 현재 안을 보완 발전시켜 오히려 완성도를 높이기로 결론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시장 권한대행 기간인 지난해 11월 중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착공됐다”며 “이미 34% 공정이 진행되었고 250억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돌이키기엔 이미 공사가 상당부분 진행된 부분, 400억이란 귀한 시민의 세금을 허공에 날릴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이미 광화문광장 서측도로가 폐쇄돼 동측으로 양방향 차량 통행이 이뤄지고 있고, 중앙광장 형태로 복구한다고 해도 최소 4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상황에서 원상복구나 전면재검토 등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 시장은 “행정의 연속성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행정철학”을 강조했다. 그는 “행정기관의 결정은 시민,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시장이 바뀔 때마다 광장이 공사장이 되는 비합리적이고 소모적인 역사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문제점은 최소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것, 무엇보다도 시민 세금을 단 한 푼이라도 헛되이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서울시장의 책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보완·발전안으로 광장의 역사성 강화, 스토리텔링 복원, 광장 주변과 연계해 활성화하는 상생 전략 등 3대 보완분야를 제시했다.
우선 경복궁 앞 월대를 이번 공사에 추가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경복궁 앞 월대는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이후 오랜 세월 역사 속에 잠들어 있었다”며 “월대 복원은 역사성 회복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과제다”고 강조했다. 월대 복원은 조선시대 왕과 백성이 소통하고 화합하던 상징적 공간을 복원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오 시장은 “월대 복원을 위해서는 약간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 공사시간이 1~2개월 길어져 내년 봄까지 늦춰질 수 있다”며 “다만, 교통 흐름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월대가 복원되면 광화문 앞 율곡로 직선 구간(50m)이 유선 형태로 바뀌어 광장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오 시장은 역사적 의미의 스토리텔링으로 세종대왕의 애민사상이 보다 부각되는 상징물을 조성하고 이순신 장군의 상유 12척, 23전 전승 등의 역사적 사실을 분수 형태로 담아내겠다고 했다. 역사적 사실을 담은 분수는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광화문광장 서측도로에 들어설 공원에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오 시장은 “시민이 사랑하고 국민적 자긍심을 높여주는 광장이라는 당초 조성 취지대로 완성도를 최대한 높이겠다”며 “광화문광장 보완·발전계획이 마무리되는 즉시 시민들에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의 결단으로 광화문광장 사업 중단에 부정적이었던 서울시의회와의 협치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재중 선임기자, 권중혁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