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70% 3600만명 9월까지 1차 접종 완료

입력 2021-04-27 04:05
연합뉴스

정부가 9월까지 국민의 70%인 3600만명의 1차 접종을 완료하고, 11월까지는 2차 접종을 마쳐 ‘집단면역’을 달성한다는 로드맵(구상도)을 제시했다. 화이자사의 코로나19 백신을 2000만명분 추가 확보한 이후 집단면역 달성에 대한 자신감도 연일 드러내고 있다.

문재인(사진) 대통령은 26일 “백신 문제를 지나치게 정치화해 백신 수급과 접종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부추기는 일이 없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정부 계획대로 4월 말 300만명, 상반기 중으로 1200만명 또는 그 이상의 접종이 시행될지는 조금만 더 지켜보면 알 수 있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수급과 접종에 대해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를 믿고 따라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백신 수급 불안 요인을 대비하고, 접종 속도를 더 높이는 것은 물론 백신물량 추가 확보에 행정력과 외교력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화이자 4000만회분 추가 계약 체결”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7일에는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사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신속한 인허가 신청 등 국내 도입 방안을 논의한다.

앞서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9월 말까지는 전 국민의 70%인 3600만명에 대해 1차 접종을 완료하겠다”며 “최근 확보된 화이자 4000만회분 등을 토대로 집단면역 시기를 11월 이전으로 단 하루라도 더 당길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11월까지 전 국민의 70%인 3600만명에 대해 2차 접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3분기 도입 예정 백신은 4000만명분으로 3분기 접종 목표(2400만명)를 훨씬 초과한다. 4분기에 들여올 4500만명분의 백신은 만 18세 미만 청소년 접종이나 3차 접종(부스터샷), 내년 비축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접종을 유도할 방안도 제시했다. 홍 직무대행은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를 활용해 확진자 접촉 및 출입국 시에 자가격리 의무 면제를 포함한 방역조치 완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예슬 박세환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