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다음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백신 외교 성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6일 발표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열리는 첫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최우선 과제로 응답자의 31.2%가 ‘백신 스와프’를 꼽았다. 백신 스와프란 다른 나라가 추가 확보한 백신을 우선 공급받고 한국이 나중에 되갚는 방식을 말한다. 국민은 백신 확보 문제를 한일현안(21.1%), 경제(18.6%), 대북 이슈(14.8%), 동맹 강화(14.2%)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으로, 그만큼 국민이 느끼는 절박함이 크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또 문 대통령이 이번 방미 과정에서 정상회담 외 우선으로 해야 할 활동과 관련해선 응답자 71.7%가 “백신 공급을 위해 직접 미국 민간기업과 소통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국의 대외전략에 대해선 미국의 역내 리더십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본·호주와 같이 미국의 역내 리더십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동참’을 선택한 비율은 44.3%에 달했다. 이어 ‘미중관계 균형을 고려한 전략적 모호성 유지’(37.7%), ‘미국과 적당한 거리두기 시행 및 친중국 포지션 확대’(9.9%) 순이었다. 바이든 정부에서 한미관계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기와 비교해 달라지는 것이 없을 것이라는 답이 37.3%로 가장 많았다.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35.9%였다.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22일 전국 성인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전화(ARS)를 통해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