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아들지 않는 코로나19 확산세에 정부가 다음달 2일까지 1주일간을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설정하기로 했다. 유행 규모가 더 커지면 민생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한 영업시간 제한이나 집합금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는 계산에서다. 전날 발표한 화이자 백신 2000만명분 도입을 두고는 물량 수급에 대한 우려가 해결됐다며 현재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5일 “유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이며 급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다음달 2일까지를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설정해 총력을 다해 방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공무원 복무지침을 활용해 공공 부문의 회식과 사적 모임을 이 기간 금지하기로 했다. 위반 여부를 적발하기 위해 불시에 단속도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재택근무와 시차 출퇴근 제도도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모든 중앙부처의 장·차관, 실장이 매일 소관 시설의 방역 실태를 현장에서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국내 유행이 꾸준히 확산세를 이어가는 와중에 나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644명 늘어 누적 11만8887명이 됐다고 밝혔다. 최근 1주간 하루 평균 확진자는 652.7명으로 집계됐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상황이 어려워질수록 방역 정도는 강화되고, 국민 불편과 민생의 어려움이 가중된다”며 “이번 주에 확산을 반전시키거나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화이자 백신 구매계약을 재차 언급하며 백신 수급에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앞서 정부는 전날 화이자와 2000만명분의 백신을 계약했으며 연내에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백신 물량에 대한 우려는 충분히 해소됐다”며 “미래의 백신 수급이 차질을 빚을 것인지, 아닐 것인지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은 중단하고 현재에 집중할 때”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으로 우려가 확산되던 백신 공급 문제에서 한시름을 덜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한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고 면역 지속 기간을 늘리기 위한 ‘부스터 샷’ 경쟁에서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방식으로 만들어진 화이자 백신이 앞서 있어 수요가 폭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아스트라제네카·얀센)은 접종할 때마다 벡터(전달체)에 내성이 생긴다는 한계를 안고 있고, 합성항원 방식의 노바백스는 예상보다 개발에 오래 걸리고 있다”며 “결국 mRNA 백신이 부스터 샷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청소년 등을 포함해 인구집단 전체를 상대로 한 효과성·안전성 경쟁에서 앞서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화이자 백신은 만 16~17세를 상대로 접종할 수 있도록 허가된 데다 만 12~15세 상대 임상도 마쳤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희귀 혈전증 논란으로 만 30세 미만에서 접종이 제한됐다. 얀센 백신도 같은 문제로 일부 대상자에겐 쓰지 못할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얀센 백신의 설명서에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혈전증 관련 경고문구를 추가하도록 했다. ACIP가 검토한 사례는 15건으로, 모두 여성 접종자였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