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수동 재개발 ‘35층 규제’ 풀어 49층까지 허용해야…”

입력 2021-04-26 04:02

“서울시의 ‘35층 룰’은 완화돼야 할 규제입니다. 박원순 전 시장 재임때도 줄곧 건의해왔던 겁니다. 2011년 성수전략정비구역 지정 당시 49층으로 고시된 걸 이제 와서 변경하면 행정의 일관성 문제가 생깁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원오(사진) 성동구청장은 22일 집무실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날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주택재개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 구청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거래 자체를 금지하는 게 아니라 실수요자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조치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성수전략정비구역은 4개 지구에 각각 조합이 설립돼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5층 룰 완화를 시사했고, 서울시의회도 시민들이 원한다면 시와 협의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정 구청장은 “도시경관 관리는 시야 확보가 중요한데,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개발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선 용적률을 완화해 35층 이상 고층건물을 짓게 하고 대신 건폐율을 낮추는 식으로 건물 간격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뉴욕의 슬렌더(slender) 빌딩을 예로 들었다. 슬림한 초고층 건물인 슬렌더 빌딩은 뉴욕의 스카이라인을 다양하게 창출하면서 도심 경관 관리에도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정 구청장은 부동산정책과 관련해 지역 민심을 전하며 방향 전환과 속도조절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성동구의 경우 올해 공시가격 6억원 이하 가구가 35%, 6억~9억원 34%, 종합부동산세 구간인 9억원 이상은 31%에 달한다”며 “공시가격 현실화율 속도가 너무 빨라 부담이 굉장히 크다”고 했다. 이어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투기 수요, 다주택자를 억제해 집값을 안정시키는 것인 만큼 실수요자인 1세대 1주택 장기보유자와 수입 없는 은퇴자에 대해선 세금을 감면해줘야 한다”고 했다.

성동구는 수도권 급행열차(GTX)의 왕십리역 정차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연구용역을 통해 왕십리역 정차가 비용편익(B/C) 분석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토부에서도 GTX-C 노선의 추가 역 신설이 가능하고, 주민들의 교통수요를 반영하겠다는 고시를 발표했다. GTX가 왕십리역에 정차하면 이동이 편리해질 것”이라고 했다. 또 “오 시장도 ‘왕십리 역세권 개발’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서울시와 적극적으로 팀플레이를 펼쳐갈 것”이라고 했다.

성동구는 서울숲 삼표레미콘 공장에 대한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 절차가 끝나면 이전 부지에 대한 공원 실시설계를 통해 서울숲과 중랑천·한강변을 잇는 수변 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정 구청장은 “서울시와 (이전)합의가 됐는데 박원순 전 시장의 유고로 도시계획 절차가 중단된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삼표레미콘 이전이 오 시장의 공약이기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의회 의견청취를 마치고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준비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삶터, 쉼터, 일터가 조화롭게 발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게 목표”라며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요건은 포용성이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해 다함께 잘 사는 스마트 포용도시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