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의 서울 여의도 국회 앞 사무실에는 ‘희망22’라는 문패가 붙어 있다. 유 전 의원은 이 희망의 길은 ‘경제’에 있다고 했다.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 이 시대 정치의 소명이자, 대선에 도전하는 많은 정치인 중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라는 것이다. 그는 문재인정부 경제정책을 “케케묵은 운동권식 사고가 만든 무지·무능의 결과물”이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이른바 ‘기본 시리즈’에 대해서는 “한마디로 허구”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포퓰리즘 공약은 절대 안 하겠다. 고통이 따르더라도 개혁을 말하겠다”고 했다. 국민일보는 유 전 의원을 지난 23일 희망22 사무실에서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두 번째 대선 출마 뜻을 밝히셨다. 왜 대선에 도전하나.
“지금 국민 대부분이 나라의 미래에 대해 절망적이다. 경제 사회 안보 정치까지 나라 전체가 약해지고 있다. 희망을 만들어드리고 싶다. 세계 1등 국가라고 할 만한 진짜 강한 나라를 만들고 싶다.”
-지금의 시대정신은 무엇이라고 보나.
“1번이 경제, 2번이 공정이다. 공정 문제가 국민이 마음으로 원하는 정신·철학적인 가치라면, 경제 즉 먹고사는 문제는 하루하루 일상에서 직접 부딪히는 삶의 문제다. 특히 코로나19로 저성장·저출산·양극화의 삼중고가 더 악화되고 있다. 경제는 저 스스로 가장 내세울 수 있는 분야다.”
-이번이 ‘마지막 도전’이라고 했다.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하려 한다. 그래도 포퓰리즘 공약은 절대 안 하려 한다. 포퓰리즘 공약은 대통령이 된 이후 그걸 지켜야 한다는 부담이 된다. 저는 ‘개혁 대통령’이 되겠다. 개혁은 늘 고통을 수반한다. 노동 개혁만 해도 그간 아무도 성공한 정부가 없지만, 노동 개혁을 하지 않으면 경제가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달콤한 퍼주기 약속이 아니라, 진짜 우리나라가 제대로 된 선진국이 되는데 필요한 개혁을 얘기하는 게 오히려 국민께 통할 수 있다고 본다.”
-정부 경제정책에 아주 비판적 입장인데.
“문재인정부는 대통령부터 그 주변 권력실세들까지 대부분이 경제에 너무 무지하고, 무능하다. 1970~80년대 NL(민족해방 계열) 중심의 운동권 사고방식, 케케묵은 경제이론에 갇혀 있는 것 같다. 이런 배경 속에서 소득주도성장 같은 엉터리 경제정책이 나와 버렸다.”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경제정책을 꼽는다면.
“가장 절박한 경제정책은 코로나 백신 확보다. 백신 디바이드(격차)라 하지 않나. 이스라엘이나 미국 영국같이 백신 접종률이 높은 나라는 일찍 집단면역이 형성돼 그만큼 경제도 빨리 돌아간다. 그런데 지금까지 보면 한국은 백신 확보에 실패한 상황이다. 정부 책임이다.
두 번째는 인재다. 우리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결국 사람밖에 없다. 그래서 저는 ‘디지털 혁신인재 100만명 양성론’을 주장한다. 세금으로 1주일에 10시간 일하는 아르바이트 자리 만들 게 아니라 디지털교육 인프라 구축에 주력해야 한다. 대통령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
-이재명 지사는 ‘기본 시리즈’를 정책 브랜드로 내세운다.
“그분이 얘기하는 기본소득·주택·대출 3종은 완전히 허구다. 아마 자기 돈이었다면 그렇게 쓰지 않았을 거다. 이 지사가 하겠다는데 들어가는 돈은 결국 2030세대가 갚아야 할 빚 아닌가. 기본 시리즈는 산술적으로만 평등할 뿐 실상은 서민을 위한 것도, 공정한 것도 아니다. 그 돈으로 ‘송파 세 모녀’ 사건 같은 비극을 막도록 사회안전망을 튼튼히 하는 게 공정하고 따뜻한 공동체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정치인 유승민’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문제해결 능력이다. 우리 당이 노무현정부 이후 정권을 되찾았을 때 ‘경제 살리기’에 대한 희망이 있었지만,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모두 잘하지 못했다. 이제 국민은 경제 문제를 확 다른 방향에서 해결해 줄 대통령을 원하고 있다. 경제와 안보가 나라의 두 기둥인데 저는 국회 국방위에서 8년 있었고, 경제는 평생 해왔다.”
-현재 지지율이 저조하다.
“대선 1년 전 지지도는 역사적 경험으로 봐도 변화무쌍했다. 지금은 문재인정부에 대한 분노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후보 지지도 역시 정권교체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정권과 대척점에 있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 지지율도 그래서 높은 것 같다. 그런데 대선은 과거 심판 성격도 있지만, 미래에 대한 선택이다. 국민도 위기에서 ‘나라를 바로 세울 수 있는 후보가 누구인가’를 보실 것이다.”
-국민의힘은 여전히 낡은 보수 이미지가 강한데.
“재선 이상은 저를 포함해 친이·친박 논란에서 자유로울 사람이 없지만, 저는 56석의 초선들에게서 희망을 많이 본다. 국민은 진보가 정의·공정을 지켜줄 것으로 기대했는데, 문재인정부를 보니 완전 거짓말이고 위선이었다. ‘조국 사태’만 봐도 사이비진보가 국민을 상대로 쇼만 했던 게 드러나지 않았나. 이럴 때 우리 당이 진짜 정책, 진실한 행동으로 혁신하고 대안을 보여야 한다.”
-윤석열 전 총장에 대한 평가는.
“(윤 전 총장이 대구고검에 근무할 때) 대구에서 열린 공식 행사에서 처음 봤다. 이후 서울에서 식사한 적이 있다. 얘기를 나눠보니까 호감이 가더라. 국가 미래 비전과 정책을 놓고 당당하게 경쟁하는 관계가 되면 좋겠다.”
-저서 ‘나는 왜 정치를 하는가’를 보면 9회 역전 홈런을 치는 것으로 끝난다.
“정치라는 게, 특히 대선은 외롭고 긴 자기 자신과 싸움이다. 제 페이스대로 경제성장 공정 개혁 가치를 들고 열심히 가다 보면 그리고 그것이 국민이 생각하는 것과 맞아떨어지면 (대선에서) 역전 홈런도 가능하지 않겠나.”
지호일 백상진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