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상용화를 시작한 5G도 소비자들의 불만이 누적되고 있다. 일부 사용자는 5G 서비스 품질이 LTE와 별반 다르지 않은데 요금만 비싸게 받는다며 집단소송도 준비 중이다. 이동통신사들은 LTE에 비해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는 5G 특성상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5G 피해자모임’은 공동소송 플랫폼 ‘화난사람들’을 통해 지난달 22일부터 ‘5G 손해배상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두 달 동안 참가인을 모집한 뒤 1차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 100만명 이상의 소송인을 모은다는 목표다.
이들은 “부족한 5G 기지국과 사실상 LTE와 큰 차이가 없는 서비스로 인해 5G 서비스 가입자들은 변화를 크게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오히려 끊김 현상, 빠른 배터리 소진, 일부 지역에서만 이용, LTE 대비 비싼 요금 등으로 5G 서비스 이용자들의 고충과 불편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통3사는 5G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많은 이용자의 민원과 항의에도 강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보상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LTE 요금제는 2만~3만원대부터 고가 요금제까지 다양하지만 5G는 5만원 이상 요금제만 있다. 사용자 입장에선 LTE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요금만 비싸졌다는 불만이 나온다. ‘5G 킬러콘텐츠’로 기대를 모았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 등이 예상보다 활성화하지 않은 것도 5G 불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통3사는 LTE와 5G를 같이 쓰는 비단독모드(NSA) 방식으로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5G망이 깔리지 않은 곳은 LTE를 쓰는 것이다. 초기에 5G가 많이 깔리지 않다 보니 LTE 신호가 잡히는 경우가 많았다. 5G는 속도가 빠르지만 전파 도달거리가 LTE보다 짧아 기지국을 더 촘촘히 설치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5G는 LTE보다 3배 정도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LTE보다 3배 많은 투자를 해야 원활한 5G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통사들은 수익성이 정체되고 있는 통신 사업보다 인공지능(AI), 로봇 등 탈통신 사업의 투자를 늘리는 분위기다. 이통3사는 LTE 없이 5G만으로 운용하는 단독모드(SA) 도입 시기도 특정하지 않고 있다.
이통사들은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만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LTE보다 많은 투자가 필요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변화에 도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는 최근 농어촌 5G망을 공동이용키로 했다. 통신망을 이통사끼리 협력해 구축하고 함께 쓰는 건 처음 있는 일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망을 함께 구축하는 건 이통사 입장에서 자존심을 버리고 실리를 택하겠다는 것”이라며 “다양한 방법으로 5G망을 계속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