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집단면역을 위해서는 정부의 체계적인 로드맵과 함께 일선 현장의 유기적 움직임이 필수다. 2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에서 열린 ‘2021 대한민국 신성장동력 포럼-마스크 없는 사회로 가는 첫걸음’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보건소 등의 백신 접종 현장 상황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이 논의됐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백신 접종은 결국 시·군·구 중심의 지자체에서 시행된다”며 “행안부는 재난관리 총괄부처로서 지자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행정 인력을 교육하고, 75세 이상 접종자의 이동편의를 위해 특별교부세 등을 통해 비용을 지원하는 식이다.
권근용 세종시 보건소장은 최전선에서 방역과 백신 접종을 책임진 보건소의 상황을 전했다. 예진표 작성부터 접종 동선까지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변수가 발견돼 개선해가고 있다. 권 소장은 “75세 이상 노인들이 새벽부터 와 2시간씩 대기하거나 대기자가 한꺼번에 몰리기도 했다”며 “직원 출근시간을 앞당기고 대기공간을 더 늘렸다”고 말했다.
보건소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주민들을 위해 장날에 선별진료소를 추가 설치하거나 이동검체팀을 운영하기도 한다. 배경택 질병관리청 기획조정관은 “지난 1년간 보건소가 없었다면 코로나19 사태를 관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내 풀뿌리 조직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배 기획조정관은 백신 접종센터에서 진료 중인 하남의사회장을 만난 일화를 소개하며 “지역 의사회가 ‘우리 지역을 책임지겠다’며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현장 인력의 여건 개선 요구도 나왔다. 권 소장은 “보건소는 방역업무와 접종업무를 함께 수행해야 하는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방역 부담은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최근 확진자 수가 지난해 12월 수준으로 급증했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며 “그럼에도 어려운 분이 많다. 정부는 11월까지 반드시 집단면역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