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5·2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대표 후보 간 신경전이 점점 가열되고 있다. 당 쇄신방안에 있어 홍영표 송영길 우원식(기호순) 세 후보가 뚜렷한 차별성을 드러내지 못하면서 상대의 단점을 부각하는 데만 몰두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당 안팎에선 ‘누가 되든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이 흘러나오면서 전당대회 흥행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당대표 후보 3명은 21일 TBS 라디오에 출연해 서로의 약점을 직설적으로 파고드는 난타전을 벌였다. 송 후보는 약점으로 ‘불안한 리더십’이 꼽혔다. 홍 후보가 “당내에선 송영길의 리더십이 불안한 것 같다는 평가가 있다”고 포문을 열자 우 후보도 “당이 위기에 처했을 때 혼자 너무 본인 생각을 강조하는 불안이 있다”고 거들었다. 지난해 외교통일위원장을 맡았던 송 후보가 각종 말실수로 구설에 올랐던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송 후보는 홍 후보의 리더십이 ‘독선적’이라고 응수했다. 그는 “추진력이 뛰어나지만 주변 전체 의원의 공감을 끌어내기에는 독선적인 면이 있다”고 말했다. 우 후보 역시 “변화가 필요한 때에 지키는 것에 너무 중점을 두고 있다”고 홍 후보를 평가했다. 실제 홍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단결’을 키워드로 내세우며 4·7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혼란스러운 당 분위기를 수습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좁은 시야’는 우 후보의 약점으로 거론됐다. 홍 후보는 “우 후보자가 민주당에서 을지로위원회로 대표되는 민생 대표주자이지만 민생의 폭이 너무 좁다”고 지적했다. 송 후보는 “당대표가 되기에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세 후보가 내놓은 선거 패인 분석과 당 쇄신방안에서는 큰 차별점을 찾기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 후보 모두 ‘부동산 민심’과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상황’ 등을 선거에서 진 이유로 꼽았다. 대책 역시 미묘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부동산 정책 수정, 백신 확보, 민생 개혁 등으로 수렴되고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야당에 양보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모두 ‘협상 불가 대상’으로 못 박았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세 후보 모두 친문 색채가 강하고 선수도 비슷해서 크게 차이점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당대표에 누가 되든 크게 달라질 게 없다는 게 지금 민심”이라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