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맞는 절차에 따라 이뤄진다면 “굳이 반대할 건 없다”고 했던 자신의 발언에 대해 “정부가 일본 결정을 무조건 반대하는 게 아니라는 취지에서 했던 말”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이번 결정에는 반대한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정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서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발언에 대해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이 지적하자 “일부에서 정부가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게 아니냐. 일본이 하면 무조건 반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어서 ‘그게 아니다’는 취지에서 말한 것”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정 장관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할 과학적 근거 제시, 우리 정부와의 충분한 사전 협의, IAEA 검증 과정에 우리 전문가나 연구소 대표 참여 보장 등 조건을 말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 상황에서 일본이 원전 오염수를 방류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 19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반대 입장에 변함이 없는지 묻는 질의에 “반대를 한다기보다는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3가지 정도를 일본에 줄기차게 일관되게 요구하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정 장관의 이런 해명에도 여야 의원들의 비판이 이어졌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굳이 반대할 게 없다’는 표현은 국민 정서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혼선을 빚을 우려가 있다”며 “우리 입장은 ‘반대를 위한 반대’를 했다고 우리가 스스로 자격지심이 들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정 장관은 또 ‘가장 중요한 미국과 IAEA를 설득하지 못한 것은 외교의 실패’라는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 지적에는 “현재 저희가 파악하고 있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나라는 유일하게 미국뿐”이라며 “우리와 (생각이) 몇 가지 다른 점에 대해선 미국 측에 그 주장의 근거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려 달라고 요구했다”고 답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