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4시30분(한국시간) 화성 예제로 크레이터에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우주 헬기 ‘인저뉴어티(Ingenuity·독창성)’가 날아 올랐다. 이륙 후 초속 1m의 속력으로 약 3m 높이까지 상승해 30초간 정지비행을 하고 착륙했다. 비행 직후 인저뉴어티는 소모된 동력을 태양에너지로 재충전하기 위해 수면에 들어갔다.
지구였다면 지극히 평범했던 이 비행을 두고 나사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비행체가 잠시 하늘을 나는 데 성공했던 것과 비견할 만하다”고 했다.
그만큼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인류가 지구 외 행성에서 처음으로 ‘제어가 되는 동력체’를 비행시켰다.
인저뉴어티는 높이 약 49㎝로 질량은 지구에서는 1.8㎏이지만 중력이 지구의 3분의 1인 화성에서는 0.68㎏에 불과한 작은 비행체다.
화성에선 비행이 어렵다. 대기 밀도가 지구의 100분의 1수준에 불과해 공기 힘으로 양력을 만들어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저뉴어티는 탄소섬유로 만든 날개 4개가 보통 헬기보다 8배 정도 빠른 분당 2400회 안팎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뉴욕타임스(NYT)는 “화성 표면에서 이륙하는 것은 지구에서 고도 10만피트(약 30㎞)로 비행하는 것과 비교할만하다”며 “어떤 헬기도 그 정도 높이에서 비행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NASA는 인저뉴어티를 만드는 데 8500만달러(약 950억3000만원)를 들였다. 인저뉴어티를 품고 화성에 간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를 개발하는 데는 27억달러(약 3조원)가 투입됐다.
인저뉴어티는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의 첫 비행을 기원하기 위해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지구에서 첫 동력 비행을 성공시킨 비행기 플라이어 1호기의 한 조각을 몸체에 부착했다.
나사는 비행 시도를 화성시간으로 30솔(1솔은 24시간 37분 23초) 내 최대 다섯 차례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저뉴어티는 앞으로 네 차례 더 시험비행에 나설 수 있다.
인저뉴어티에는 과학자료를 수집하는 기능이나 과학기구는 실려있지 않고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부품들로만 채워졌다.
나사는 “인저뉴어티는 화성에서 비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실증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며 “해당 기술들은 더 진보된 로봇 비행체가 나올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래의 화성 헬기는 기존 착륙선과 로버, 궤도선이 제공하지 못했던 독특한 것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