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상화폐 투자 광풍이 불고 있다. 20·30대 젊은이들은 물론 회사원, 가정주부들까지 투기성 투자에 나서면서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100만원으로 1억을 만들었다’, ‘수익률 500%를 달성했다’ 등과 같은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대기업에 다니는 모 회사원이 수백억원을 벌었다는 소문까지 퍼지면서 투기 열풍이 확산하는 추세다. 한국에서 가상통화는 5~10% 비싸게 거래되는 ‘김치 프리미엄’이 생겼을 정도다.
가격 변동 폭이 워낙 심하고, 24시간 거래가 이뤄지면서 패가망신을 하거나 정상적인 삶이 무너져 폐인에 가까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도 등장하고 있다. 자칫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해 사회문제로 비화할 소지도 있다. 대장주로 불리는 비트코인의 경우 지난해 말 3000만원선에 머물렀던 1코인 가격이 최근 7000만원대까지 치솟았다. 4개월도 안 돼 무려 4000만원 이상 오른 것이다. 도지코인은 발행이 무제한이고 값도 400원 내외로 저렴한데다, 연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우리 모두의 암호화폐”라고 추켜세우면서 급등했다. 지난주에만 350% 올랐고, 올해 들어서는 4000% 이상 폭등했다.
상황이 이러자 ‘인생역전’을 꿈꾸며 빚을 내 투자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하루 거래대금이 무려 24조원을 넘나들고 있다고 한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3월 하루 평균 개인 투자자의 거래금액은 19조원 정도고, 하루 평균 해외 주식 결제액이 약 2조원임을 감안하면 총 21조원으로 가상화폐 거래대금에도 못 미친다.
가상화폐는 언제든 거품처럼 사라질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다. 투자하기에 앞서 충분히 공부하고 전략적 투자가 가능한지 스스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사기만 하면 무조건 오른다는 식의 ‘묻지마 투자’는 절대 금물이다. 금융당국도 단순히 자금세탁, 사기 등 불법 행위에 대해서만 단속하는데 그치지 말고 투기적 행태를 진정시키고 건전한 투자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사설] 가상화폐 광풍… 투기 잠재울 제도적 장치 마련 시급
입력 2021-04-20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