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일본 원전 오염수’에 위기감 고조

입력 2021-04-19 04:05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2023년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제주도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오염수 방출이 현실화되면 도민 건강은 물론 지하수, 수산업, 관광 등 제주지역 생존산업 전반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 수산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도내 수산업 관계자들은 16일 제주시 노형동 주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규탄하는 항의 집회를 열었다. 수협, 어선주, 어촌계, 수산업 경영인, 수산정책 관련자 등 각계 어업인들은 오염수가 해양에 방출되면 수산물 소비 급감으로 제주지역 수산업계가 궤멸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분노했다.

제주 어업인들은 이미 지난 2011년과 2013년 두 차례 일본 원전 폭발과 오염수 유출로 수산물 소비 급감이라는 홍역을 겪었다. 당시 어선어업의 갈치·옥돔 등은 물론 넙치 등의 양식어종과 해녀어업의 전복·소라에 이르기까지 모든 어업이 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에 빠졌었다.

농업인들도 안전한 먹거리 생산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했다.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는 일본 정부가 방류를 결정한 다음날 즉각 성명을 내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나 폐화석을 이용한 토양계량제, 어분비료를 이용하는 제주 농민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데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제주 토양이 오염되면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까지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걱정했다.

아직 움직임이 가시화되지 않은 산업 각계의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깊은 경기 수렁에 빠졌던 관광업계는 오염수 방출이 제주 관광에 새로운 타격 요인이 될까 걱정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관련 집회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수산업계가 지속적인 규탄 시위를 예고했고, 도내 1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도 19일 주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방류 철회 기자회견을 예정하고 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