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 폐활성탄 오염물질을 신재생에너지로 바꾸는 기술 개발

입력 2021-04-19 04:03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지난 15일 경기도 안산시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사업본부 환경에너지센터'의 활성탄 탈착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안산=이동희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100% 중국산에 의존해온 활성탄을 최대 45회까지 재생해 기존 대비 절반 이하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췄다. 또 폐활성탄 저온재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연소해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수자원공사(수공) 시화사업본부는 최근 폐활성탄 저온재생 및 열에너지 전환·공급 사업을 본격 개시하고, 관련 기술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김원호 수공 시화환경처 환경관리부 부장은 “활성탄 공동재생설비를 최초로 개발한 것”이라며 “지난해 9월 폐활성탄 재생시설인 환경에너지센터를 시화·반월 산단에 구축했고, 현재는 하루 22.5t의 폐활성탄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시화·반월 산단에는 1만8000여개의 소규모 공장이 밀집해 있다. 다수 업체는 대기오염 방지시설인 ‘활성탄 흡착탑’을 운영하고 있지만, 경제성 문제로 실적이 저조하다. 활성탄은 오염된 공기나 물을 정화하는 여과제로,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한다. 1t당 가격은 300만원 안팎이다. 재생 활성탄을 쓰면 130만원까지 비용이 줄어들지만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해 업체 입장에선 부담이 크다. 흡착능력이 떨어지는 저품질 활성탄을 사용하거나 제때 교체하지 않는 업체가 늘어나는 이유다.

수공의 ‘활성탄 공동재생사업’은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수명이 다한 폐활성탄에 저온의 열풍을 불어넣어 흡착된 오염물질(VOCs)을 탈착시키고, 가연성 오염물질은 완전 연소시켜 열에너지로 전환한다. 기존 고온재생(섭씨 800~900도) 방식에선 재생 후 활성탄이 60~70%만 남았는데, 저온재생에선 95%까지 보존된다. 재생 횟수는 4~5회에서 45회로 늘었고, 1t당 공급가는 130만원에서 60만원으로 대폭 줄었다.

활성탄 전용 카트리지를 별도 개발해 교체에 드는 비용과 시간도 크게 줄였다. 공장터에서 폐활성탄을 바닥에 전부 쏟아붓고 사람이 직접 삽으로 옮겨 담는 기존의 방식을 개선했다. 센터에선 오염물질 배출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공장의 활성탄 교체 시점도 알려준다. 수공은 또 활성탄 재생 과정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을 연소해 열을 생산하고, 지역난방공사에 바이오메스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다. 활성탄 재생 과정에서 나오는 미세먼지와 악취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었던 비법이다.

수공은 이 사업으로 시화·반월 산단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60%, 미세먼지는 연 362t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또 매년 3000세대에 난방열을 공급하고, 온실가스 9723t 저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산단 내 입주기업 참여를 끌어낼 유인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대기오염방지시설 구축에 최대 90%를 지원하지만, 활성탄 교체 등 사후관리 지원책은 마땅치 않다. 전문가들은 활성탄 교체주기에 관한 법·제도 정비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했을 때 기업 환경 의식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박재현 수공 사장은 “환경에너지센터와 같은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혁신적 녹색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겠다”며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공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산=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