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주민센터들이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 등 사회적 이동 약자들에겐 너무나 높은 ‘성’이었다.
15일 전북도가 내놓은 ‘2020 도민인권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주민센터 243곳의 인권친화시설을 전수 조사한 결과 각 시설물의 적합률이 10~30%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연구원이 지난해 8∼12월 모든 주민센터를 대상으로 12개 분야 53개 항목을 점검했다.
주차장의 경우 대상의 69.1%(168곳)가 교통약자 전용 주차구역 확보와 기준치 대비 부합 여부 등이 적합하지 않았다. 전용 주차구역이 아예 없거나, 있어도 기준치에 맞지 않았다.
계단과 승강기는 82.3%(200곳)와 88.8%(216곳)가 이용하기에 불편했다. 계단은 점형 블록이나 미끄럼 방지 장치 등이 없는 사례가 수두룩했다. 승강기 또한 장애인 안내 장치가 없거나 휠체어 탑승이 곤란할 정도로 비좁게 설치돼 있었다.
다른 편의시설은 더욱 심각해 화장실 적합률은 고작 2.4%(6곳), 임산부 휴게실은 0.8%(2곳)만 적합 판정을 받았다.
가장 인권친화적으로 만들어져야 할 출입문 조차 그 적합률은 54.9%(131곳)에 머물렀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북 주민센터 장애인 친화시설 태부족
입력 2021-04-16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