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경기도 남양주 다산신도시 아파트 단지에서도 택배 대란이 벌어졌다. 아파트 주민들이 안전을 이유로 택배 차량의 단지 지상 진입을 허용하지 않았는데, 높이 문제로 택배 차량이 지하주차장에도 들어갈 수 없었다. 택배 기사들이 항의 표시로 택배 상자를 아파트 단지 입구에 쌓으면서 주민들과의 갈등이 불거졌다.
국토교통부도 중재에 나서봤지만 갈등을 풀진 못했다. 국토부 중재안은 택배업체가 아파트 입구까지만 택배 상자를 운송하면 실버 택배 요원들이 손수레로 단지 내에서 배송하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실버 택배 비용 절반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 여론이 커졌고 결국 백지화됐다.
전문가들은 단지 입구에 택배 보관함과 같은 물류함을 설치하는 것을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택배 배송은 아파트 단지 입구까지만 이뤄지고 주민들이 직접 보관함에서 택배 상자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안전 등 문제로 택배 차량을 들이지 않는 건 주민 요구인 만큼 그에 따른 불편도 주민이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도 “택배 차량을 단지 안으로 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면 보관함을 설치해 주민들이 우편물 수거하듯 택배물을 챙겨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했다.
특정 시간대에만 택배 차량 진입을 허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일방적으로 주민들에게 양보하라고 말하긴 어렵다”며 “단지 내 안전이 문제라면 정해진 시간대에만 차량 출입을 허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문 앞 배송’을 원할 경우 주문자가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