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부울경)이 행정 생활 경제 문화 공동체로 나가기 위한 ‘부울경 메가시티’ 조성 계획의 청사진이 나왔다.
경남도는 14일 도청에서 시·도 단위를 뛰어넘은 초광역 단위의 권역별 발전전략을 담은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의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연구는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부울경 3개 시·도 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산·울산·경남이 하나의 공동체로 나가기 위해 1시간 생활권을 기반으로 단일 경제권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구조 기본구상이 제시됐다. 행정구역을 넘어 4대 거점도시인 부산·울산·창원·진주를 중심으로 뭉치고,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중소도시를 연결하면서 확장 가능한 도시간 광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동남권 발전계획은 행정·생활·경제·문화공동체를 4대 전략방향으로 설정하고 14개 분야에 30개 과제, 110개 주요사업을 도출했다. 먼저 행정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른 (가칭)동남권 광역특별연합 설치가 제안됐다. 부울경 지역 공통의 현안 과제와 공동 사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정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생활공동체에는 교통, 교육, 재난안전, 복지·보건, 먹거리 등 5개 분야, 11개 과제가 도출됐다. 교통 분야는 1시간 생활권 형성을 위한 광역 교통인프라 구축, 교육 분야는 동남권 대학 및 산학연 협력 강화와 평생학습체계 구축,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광역재난·대기관리 공동대응체계 구축, 복지·보건 분야는 보건의료 통합관리체계 구축, 먹거리 분야는 동남권 농산어촌 통합관리 체계 구축 등이 주요과제로 제시됐다.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해서는 물류, 에너지, 제조혁신, 지원체계, 혁신도시 등 5개 분야에서 14개 과제가 선정됐다. 동북아 물류플랫폼 구축, 동남권 수소경제권 구축, 동남권 주력산업 스마트화와 디지털화, 동남권 연구개발(R&D) 혁신체계 구축, 혁신도시 연계 지역발전 혁신체계 구축 등의 사업이 제안됐다.
문화공동체는 엑스포, 문화, 관광 3개 분야에서 각각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동남권 공동 대응체계 구축, 동남권 아시아 문화 허브 구축, 동남권 광역관광벨트 조성 및 체계 구축 등이 담겼다.
김경수 지사는 “(박형준 부산시장이 취임하면서) 협업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그동안 늦어진 부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주민들의 공감대를 높일 수 있는 협의기구를 구성해 메가시티와 광역특별연합 추진에 속도를 내 달라”고 당부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