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코로나19 상황을 4차 유행 초기 단계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1~2주 내에 확진자 수가 배로 늘 수 있고, 3차 유행보다 더 큰 유행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어떻게든 확산을 막아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9일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 비수도권 1.5단계)를 올리지 않았다. 수도권과 부산 등의 유흥시설에 대해서는 집합금지 조치를 내렸지만, 유흥시설의 자율 노력 상황에 따라 지자체별로 영업을 허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핀셋 방역 강화라고 부르기에도 약한 조치다.
정부는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지 않은 이유로 집합금지 업종에서 선의의 피해 발생, 민생경제 타격, 의료체계의 대응 여력 등을 들었다. 국민의 방역 피로도가 매우 높은 상황에서 거리두기 상향을 단행하기 어렵다는 점은 이해가 간다. 영업이 금지되는 업종 종사자의 반발도 충분히 예상된다. 그러나 방역의 측면에선 안이한 대처로밖에 볼 수 없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번 주 평균 하루 확진자 수가 550명 정도”라면서 “600, 700명대로 계속 올라가는 모양새가 나오면 운영시간 제한 업종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에서 9시까지로 제한하거나 수도권 2.5단계 격상 등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미 확진자 수는 2.5단계 기준(전국 주평균 400~500명 이상)을 넘어섰지만 700명대까지 올라가야 단계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3차 유행 때의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3차 유행 초기에 즉각 거리두기 단계를 조정하지 않고 핀셋 방역 강화로 버티다 확산세를 막지 못했던 것을 이번에도 되풀이하고 있다는 얘기다.
거리두기 격상을 못해 생기는 방역의 구멍을 백신 접종으로 메워야 하는데 이 역시 녹록하지 않다. 혈전 부작용 논란으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어서다. 만 60세 미만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일시 보류됐지만 정부는 전문가 회의를 거쳐 11일 접종 재개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접종에 따른 위험보다는 이익이 크고, 2분기 접종 대상자의 67%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되기 때문에 접종을 계속 보류하고 있을 수는 없다. 접종을 재개하되 영국처럼 30세 미만에 대해선 다른 백신을 권고하는 식으로 접종 계획을 조정해 위험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혈전 관련 이상 반응이 나타났을 때 빨리 처치할 수 있는 방법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사설] 찔끔 방역 강화로 4차 유행 막을 수 있나
입력 2021-04-10 04:01